스토리

6.10 민주항쟁 및 관련 이벤트!
2025-06-26
안녕하세요 이사부크루즈 윤실장입니다.

1987년 6월 10일,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큰 전환점이 된 6•10 민주항쟁이 일어났습니다.
올해로 38주년을 맞이한 이날은, 우리 국민이 직선제 개헌과 민주헌정 회복을 요구하며 전국적으로 들고일어났던 대규모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현장을 기억하는 날입니다.

6•10 민주항쟁의 배경과 의미

6•10 민주항쟁은 1987년 당시 전두환 군사정권이 직선제 개헌 요구를 거부하고, 노태우 후보를 지명하는 대통령 후보 지명 발표에 맞서 전국적으로 전개된 민주화 시위입니다.
1987년 6월 10일 전국 22개 도시에서 약 24만 명이 시위에 참여하며 민주주의를 요구했습니다.
특히, 1월 고(B) 박종철 열사의 고문치사 사건이 국민적 분노를 촉발하며 항쟁의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이 항쟁은 결국 군부정권을 굴복시켜, 6월 29일 노태우 당시 민정당 후보가 직선제 개헌 수용과 정치개혁을 담은 6•29 선언을 발표하는 계기를 만들었습니다.

6•10 민주항쟁의 의미와 우리가 꼭 기억해야 할 이유

1. 대통령 직선제 개헌 실현
기존 간선제로 대통령을 선출하던 헌법이 국민이 직접 대통령을 뽑는 직선제 체제로 개정되었습니다.
이는 헌정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국민 주권의 실질적 실현을 가능케 했습니다.
2.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의식의 성장
항쟁을 통해 종교계, 학계, 노동계, 언론 등 다양한 시민 세력이 결집하면서 자유와 권리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시민 참여형 사회의 기틀이 마련되었습니다.
3. 언론 자유 확대와 지방자치 부활로 이어짐
이후 언론의 자유가 점진적으로 회복되었고,
1990년대 들어서는 지방자치제 부활 등 보다 실질적인 민주주의 제도들이 정착하는 흐름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사부크루즈는 국가와 민주주의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의 평안을 빕니다.

또한, 저희 이사부크루즈는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6월 30일까지 감사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0건의 글이 있습니다.